본문 바로가기
정보보안 지망이!/Linux 기초

Linux1_기초

by Edes Kim 2020. 5. 18.

< OS > Operating System 

- 컴퓨터안에 들어있는 자원들(Applications)을 사람이 쉽게 사용하고 관리할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

ex) Windows, Linux, Unix...

 

< Linux>

- Unix 기반으로 만들어진 OS

- 다중 사용자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사용자가 로그인 및 사용가능)와 

  멀티 테스킹 (한번에 여러 프로세스 실행 가능)을 지원

- 자유 소프트 웨어 / Open Source

   (누구나 소스코드 활용, 수정, 재배포 가능)

   * 리눅스 배포판은 리눅스 커널 및 관련 다양한 s/w를 패키지로 묶어서 배포하는 것

 

- 서버 구성에 특화된 서버 OS이다

- 비교적 고사양 장비를 다루는 Windows 서버 <->Linux는 저사양 장비에서도 구성가능

- Client 보다는 Server로 많이 사용

   ( Linux를 사용하기위해서는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하며 호환성 문제로 가정집에서 사용하는데 문제가 발생될수 있다.)

 

- Windows는 Registry File을 사용하여 설정을 관리 <-> Linux는 전부 문서파일 형태로 설정을 관리

   * Window Registry 는 MS Windows 와 Windows Mobile OS의 설정과 선택항목을 담고있는 DB이며, 사용자가 제어판 설정, 파일 연결,  시스템 정책, 또는 설치된 s/w를 변경하면 이에 따른 변경 사항들이 Registry에 반영되어 저장된다.

 

설치

1. PC 조립

2. OS 설치 

* 이때 필요한 프로그램들

- 설치 프로그램                    : CentOS 7.7.1908.iso   [www.centos.org]

- 가상 프로그램                    : VMWare Workstation Pro 15.5.0~15.5.2    [vmware.com]

- 원격 접속 프로그램            : PUTTY  

- 파일 전송 프로그램            : 알FTP

 

 

<Putty 를 이용한 원격접속>

1. VMWare 환경설정

   Edit -> Change Settings -> VMnet0 Bridge Realtek

                                              VMnet8  NAT (IP 입력)

2. Linux IP 설정

    - 네트워크 설정 -> IPv4 -> 수동 -> IP 주소 입력, Subnet Mask, 게이트웨이 주소

3. Putty 환경설정

    - 연결할 IP주소 입력

    - putty 기타 설정 : Appearance(커서 깜빡임) / Behaviour(Alt+enter) / Transfer(UTF-8) / Key(14 up) / Color 수정

4. 원격 접속

 

<File    vs    Directory>

Directory : 파일의 일종으로 Folder와 같은 용도로 사용됨에도

                  "디렉토리 속성"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에 관한 정보가 저장됨) 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으며

                  크기는 항상 0byte이다.

 

<리눅스의 구조>

리눅스는 리눅스 커널 + 쉘 + 컴파일러 + 다양한 s/w를 포함한 하나의 패키지를 지칭

커널 : 리눅스의 핵심이자 좁은 의미의 운영체제

1) 입출력기를 통해 들어온 정보를 관리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정보를 처리  -> Shell을 통해 ..

2) 하드웨어(CPU, RAM, HDD, 그래픽 카드 등)를 제어하는 코드, 즉 리눅스 커널이 제공하는 System Call ( Shell, 언어별 컴파일러, 라이브러리 등)을 통해 s/w와 커뮤니 케이션을 하며 시스템의 자원들(프로세스, 메모리, 파일시스템, 디바이스, 네트워크)를 관리,제어한다. 

* System Call : 커널모드에서 관리, 운영되는 하드웨어 자원을 실제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부분에서 사용할 수 있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는 역할.

 

Shell : 명령어 해석기  ( Bash, CSH)

1) 프로그래밍 확인. 즉,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커널에게 넘겨주는 역할

2) 리눅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와 커널 사이의 중간자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그램

   즉, shell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커널에게 넘겨주고 커널이 명령을 수생한 결과값을 돌려받아 다시 사용자가 이해 할수 있는 형태로 바꿔서 출력한다.

3) 사용자에게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며, 프로그래밍 기능 (Shell Script)이 내장되어 있다

+ bash : Bourne Shell을 개량하여 만들었다. 대부분의 리눅스에서 사용됨.

 

쉘이라 부르는 이유는 전달하는 과정에서 그 내용을 볼 수 없기 때문에 껍데기라는 의미에서 Shell이라고 부른다.

 

Application : 응용 프로그램 , 각종 도구

1) 각종 프로그래밍 개발도구, 문서편집 도구, 네트워크 관련도구

2) 위 그림의 노란 영역

 

 

=>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면 응용프로그램이 그 명령어를 받아서 리눅스의 Shell에게 넘겨주고 Shell은 커널에게, 커널은 하드웨어에게 넘겨준다. 

=> 하드웨어가 작업을 마치면 그 반대로 진행되며 마지막에 사용자가 화면으로 그 결과를 확인할수 있게 된다.

 


[ Commands ]

# pwd

: 자신의 현재 경로를 출력

 

# cd

: 현재의 위치를 변경

# cd /home/samadal

 

# passwd

: 리눅스 사용자의 패스워드 변경

#passwd = 현재 로그인되어있는 계정의 pw변경

#passwd [사용자 이름] 

* 단, root 계정만 사용가능

 

# ls

: 디렉터리 내용목록 출력

#ls -l : 파일이나 디랙터리의 이름과 함께 상세 속성 정보까지 출력

#ls -a : 숨겨져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까지 

            * 파일이나 디렉터리 이름앞에 . 을 추가하면 숨김처리 

#ls -d /media : 대상 디렉토리 'media' 안에 있는 내용 확인

#ls -R : 지정한 디렉터리의 하위 모든 디렉터리 내용물 전부 쭈루륵 출력

#ls -h -l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용량 단위출력

 

#powerff 

: 리눅스 종료 명령어

#reboot

: 리눅스 재부팅 명령어


<경로 표기 방식>

1. 절대경로

: 현재 자신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최상위 디렉터리)부터 표기하는 방식

ex) cd /home/samadal

2. 상대경로 

: 현재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경로를 표기

ex) cd ../samadal/

 

<Linux Prompt>

: 컴퓨터가 입력을 받을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컴퓨터에 나타나는 신호

ex) [root@localhost d]#   

ex) [samadal@localhost ~]$  

 

#, $                     : 사용자 유형(관리자, 사용자)

root, samadal     :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 이름

@                       : 계정과 서버명을 구분하는 역할

localhost            : 리눅스 시스템 or 서버이름

~, d                    : 현재 경로(위치)

'정보보안 지망이! > Linux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1_압축(수정중)  (0) 2020.05.20
Linux1_권한과 특수권한  (0) 2020.05.20
Linux1_사용자 계정  (0) 2020.05.20
Linux1_vi 에디터  (0) 2020.05.18
Linux1_리눅스 명령어  (0) 2020.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