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DP > : Cisco Discovery Protocol
이웃장비의 정보를 알아오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단, Cisco장비끼리만)
- 이웃장비 : Cable로 직접연결된 장비
- 2계층~3계층 사이에서 동작
* 수동으로 CDP 비활성화 가능 (특정 interface만 비활성화 가능)
내용
Neighbour Device Hostname
IP address
Port 정보
장비 성격 (몇 시리즈의 Router인지)
기종(기종이나 IOS버전까지)
전역설정 모드에서
Router(config)#cdp run ->cdp enable
Router(config)#no cdp run ->cdp enable
특정 interface만 비활성화
Router(config-if)#cdp enable
Router(config-if)#no cdp enable
show cdp neighbour or show cdp neighbor detail or show cdp entry
- Device ID: Host Name
- Local interface: 해당 장비의 serial num
- Holdthime: cpd 정보를 유지하는 시간
*(디폴트는 180초, 0이되면 삭제 = -1초씩 진행되다 60초 이후의 정보가 넘어왔을때 다시 180초로 리셋)
- Port ID: 이웃 장비의 serial num
- Capability: R(라우터)/S(스위치)
- platform: 장비 기종
<Remote Device 관리>
: Router Telnet 설정
Telnet 연결 명령어 |
Local User DB를 이용한 접속설정 | 암호 입력 없이 UserEXECmode로 접속 |
Router(config)#line vty 0 4 |
Router(config)# username 이름 password 변수값 Router(config)#line vty 0 4 Router(config-line)# login local |
Router(config)#line vty 0 4 Router(config-line)# no password Router(config-line)# no login |
Ctrl+Shift+6 누름
telnet 접속은 유지하면서 원래의 장비로 갖다오는 명령어
-> enter 두 번 치면 원래 접속하고 있던 장비로 이동
- > Ctrl+Shift+6에서 6을 누른 횟수에 따라 몇 번째 있던 위치로 이동할 것인가 지정.
<Telnet Session 관리>: Route 부팅과정(표준)
1. perform POST
- Post(power-on self-test)
: 하드웨어 자가 진단 과정
2. Execute Bootstrap Loader
: Bootstrap 파일 실행
* Bootstrap: 장비 운영체제가 여기 안에 들어있다
3. Locate the IOS
: Flash memory 에 들어있는 IOS 탐색
4. Load the IOS
: Flash memory에 들어있는 IOS를 RAM으로 불러옴
5. Locate the Configuration File
: NVRAM에 들어있던 설정 파일을 찾음 (있으면 6번/ 없으면 7번이 실행)
6. Execute the Configuration File
: NVRAM에 설정이 들어있으면 RAM으로 불러옴
7. Enter Setup Mode
: Setup Mode 실행
show version
마지막 줄에 Configuration register is 0x2102
- 0x2102: 부팅 표준 모드 (1~7단계)
- 0x2142: 복구모드 (1,2,3,4,7)
*5,6으로 설정을 불러오면 password 때문에 들어갈수 없기 때문
https://blog.naver.com/hunter8714/220714071242
네트워크 # 09. CDP / Telnet 명령어 / Router Boot 과정
네트워크 # 09. CDP / Telnet 명령어 / Router Boot 과정 * show ip interface brief : 인터페이스 ...
blog.naver.com
개인적인 공부차원에서 이 블로그의 글을 대부분 참고했습니다
'정보보안 지망이! > Network_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ing Protocol_EIGRP (0) | 2020.05.13 |
---|---|
Routing Protocol_OSPF (0) | 2020.05.13 |
Routing Protocol_RIP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