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보안 지망이!/Network_basic

Routing Protocol_RIP

by Edes Kim 2020. 5. 12.

<RIP이란?>

-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 v1 과 v2가 있다

- Routing 정보 전송을 위해 UDP 포트 520번 사용

- AD값은 120

 

장점 

           설정이 간단하다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or 대형 네트워크의 말단 지점에서 사용하기 좋다

               *최대 Hop-count가 15이기 때문 (16이상인 경우 도달 불가능한 네트워크로 간주)

           표준 Routing Protocol -> 모든 회사의 Router에서 사용가능

               (EIGRP는 Cisco전용)

단점

           Metric을 Hop-count 로 사용

                - 때문에 경로 결정시 Link의 속도를 반영x

                - 복잡한 네트워크에서는 비효율적인 경로가 만들어 질수 있다

          Routing 정보 전송 방식이 비효율적이다

                - Topology 변화와 상관없이 무조건 30초마다 Routing table 내용 전체를 전송/update

< RIP version>

RIP Version 1

- Subnet mask 정보가 없는 Classful 라우팅 프로토콜 (VLSM 미지원)

- Broad cast 주소 사용 (255.255.255.255.255)

 

RIP Version 2

- Classful 라우팅 프로토콜 

- Multicast (244.0.0.9)를 사용

- 각 라우터에서 네트워크 경로에 대한 인증을 할 수있다 (보안성 강화)

- tag 사용이 가능

* Auto Summary : 자동 축약

* Manual Summary : 수동 축약

 

<수렴 : Convergence Time>

- Convergence :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길 경우 모든 Router가 네트워크 변화 상태에 대해 정확하고 일관된 정보를 유지하는 것

- Convergence Time :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겼을때 그 변화된 정보를 서로 인식하고 수정하는 시간

  * Routing Protocol 마다 다 다르다, 

  * RIP 은 Convergence Time이 30초. (짧을 수록 좋음!)

 

<Routing Loops>

라우터들 사이에서 수렴의 시간차가 발생함에 따라 10.4.0.0의 연결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삭제가 된상태에서 B router에게서 받은 10.4.0.0을 새로운 정보로 인식하여 잘못된 기록되었다.

 

Hop-count 는 최대가 15이기때문에 16이 되는 순간 도달 불가능한 네트워크로 간주한다.

<해결책>

1. Split Horizon

패킷이 왔던 방향으로 정보를 되돌려보내는 정보는 불필요한 정보다

(정보를 주는 것을 한 방향으로 고정)

 

2. Route Poisoning

3. Poison Reverse

4. Hold-Down Timers

Router keeps an entry for the network possibly down state, allowing time for other routers to recompute for this topology change.

 

5. Triggered Update

Router sends updates when a change in its routing table occurs.


Router(config)#router rip

Router(config-router)#network network-number

* 연결된 인터페이스들의 영역대를 광고

Router#show ip protocol

Router#show ip route

 

'정보보안 지망이! > Network_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ing Protocol_EIGRP  (0) 2020.05.13
Routing Protocol_OSPF  (0) 2020.05.13
CDP / Telnet 명령어 / Router Boot  (0) 2020.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