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 지망이!/Linux 심화16 Linux2_ 종합실습 ( 에러...방법찾기, 백업파일있음..ㅠ) Domain : gusiya.com HDD : 1GB Partition : 100MB(www), 200MB(cafe), 300MB(blog), 400MB 기타 : 자동생성 디렉터리 HDD의 유형은 자유 모든 파티션은 자동 마운트 NS와 Web은 분리 압축 1 : named설치 -> 도메인 서버 만들기 (128) 2 : Apache 설치 -> 자동생성 디렉터리, 각 어카운트에 파티션 마운트 해주기 (129 나머지) 128 -> 게이트웨이 128 129 -> 128 www.gusiya.com/www/ 이런식으로 검색했을때 각 유저안에 저장되있는 html을 열기 결과는......하씨..왜안되는거냐아...ㅠ 분명! 잘! 했는데!! 원래 하던데로 다 설정 맞추고 했는데...!!!!! 안되에... 대체 ...왜??.. 2020. 6. 8. Linux2_Apache Web Server Apahe Web Server - Web Service를 담당하는 서버 - 일반적으로 FTP Server와 함께 사용 패키지(httpd-*) / 포트(80/tcp) / 서비스(http) / 데몬(httpd[.service]) 아파치를 시작하면 아파치는 컴퓨터의 어떤 포트와 주소에 연결하여 들어오는 요청을 기다린다. 기본적으로 아파치는 컴퓨터의 모든 주소에서 요청이 들어오길 기다린다. 그러나 아파치가 특정 포트나 선택한 주소를 대상으로만 기다리게 해야할 경우가 있는데 이 문제는 아파치가 어떻게 다른 IP 주소, 호스트명, 포트에 반응할지를 결정하는 가상호스트 기능과도 연관이 되어있다. [실습1] 도메인 지정 : Apache 서버가 자신의 도메인명을 나타내는 이름을 지정한다. 즉, 일반적으로 IP주소에 대해.. 2020. 6. 3. Linux2_DNS 윈도우에서의 접속 2020. 6. 3. Linux2_DNS(NS 정의 파일, NS 설정 파일, named.rfc1912.zones) DNS 서버 구축과정중 사용되는 파일들 1. /etc/hosts > 직접 DN과 IP를 mapping 2. /etc/resolv.conf > DNS를 어떤 IP의 서버를 nameserver로 지정해 이용할건지. 3. /etc/named.conf > 'named' 데몬의 설정파일 4. /etc/named.rfc1912.zones > NS 정의 파일. 개별 도메인에 대한 설정 (1차 네임서버인지 2차 네임서버인지 아님, 루트 도메인을 누구로 지정하는지. 어떤 파일을 zone과 rev파일로 삼을건지, 또 그 파일의 경로와 정보를 저장) 5. /var/named : zone,rev > NS 설정 파일. 도메인의 정보를 저장 (이 도메인의 IP는 무엇이고, 네임서버는 누구인지) 1) NS 정의 파일 : Cachi.. 2020. 6. 2.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