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 지망이!59 Linux2_ DataBase Server Database Server - 웹에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 - 별도의 환경 설정 파일없이 사용자가 모든 설정 - 웹과 연동되기 때문에 Web Server, FTP Server와 함께 사용 패키지 (mariadb*) / 포트 (3306/tcp) / 서비스(mysql) / 데몬 (mariadb[.service]) Database >Table > Field >Value ( 중복x ) ( 중복o ) CMD DB Table Create O O Drop O O Delete Insert Update Alter Select Show Use Desc -u : 사용자를 불러오기 위한 옵션 -p : passwd = 사용자 (root)가 사용할 DB가 mysql이다. DB서버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또한 root가 .. 2020. 6. 9. Server 실무에 도움 많이되는 사이트 http://faq.hostway.co.kr/ Hostway 서버운영가이드 이미지 없음 Linux WEB cronlog 설정 apache 웹서버 구동 중에 로그 용량이 가득차 디스크 용량이 부족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cronlog 를 사용하여 로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해당 설정은 로그를 날 faq.hostway.co.kr 2020. 6. 8. Linux2_ 종합실습 ( 에러...방법찾기, 백업파일있음..ㅠ) Domain : gusiya.com HDD : 1GB Partition : 100MB(www), 200MB(cafe), 300MB(blog), 400MB 기타 : 자동생성 디렉터리 HDD의 유형은 자유 모든 파티션은 자동 마운트 NS와 Web은 분리 압축 1 : named설치 -> 도메인 서버 만들기 (128) 2 : Apache 설치 -> 자동생성 디렉터리, 각 어카운트에 파티션 마운트 해주기 (129 나머지) 128 -> 게이트웨이 128 129 -> 128 www.gusiya.com/www/ 이런식으로 검색했을때 각 유저안에 저장되있는 html을 열기 결과는......하씨..왜안되는거냐아...ㅠ 분명! 잘! 했는데!! 원래 하던데로 다 설정 맞추고 했는데...!!!!! 안되에... 대체 ...왜??.. 2020. 6. 8. DNS_네임서버의 구조 로컬네임서버 ( /etc/resolv.conf 파일에 "nameserver IP주소"로 설정되있는 네임서버) 는 의외로 아는것이 별로없다. 로컬네임 서버가 혼자서 전세계의 모든 컴퓨터의 도메인 이름을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차례차례 단계를 밟고 알아간다. 캐싱 전용 네임서버 : PC에서 URL로 IP주소를 얻고자 할때, 해당하는 URL의 IP주소를 알려주는 네임서버를 말한다. 마스터 네임 서버 : 도메인에 속해 있는 컴퓨터들의 이름을 관리하고, 외부에 해당 컴퓨터의 IP주소를 알려주는 역할 2020. 6. 4. 이전 1 ··· 3 4 5 6 7 8 9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