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보안 지망이!59

리눅스의 데몬이란? (수정중) https://www.youtube.com/watch?v=cuDZCdShZu4 2020. 5. 22.
리눅스 패키지(Archive, RPM, YUM) Archive : 무언가를 저장하여 보관하다. 1) Archive File은 대부분의 경우, 압축된 파일을 의미한다. ( zip이나 tar등의 확장자를 가진다) -> 파일을 압축하는 것을 Compress라고도 하지만 Archive라고 칭할때도 있다. 2) "보관 속성 / 저장 속성"을 가진 파일을 Archive Fil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확히는, Archive File Attribute를 가진 파일이다. 3) 블로그 사이트에서는 지난 게시물을 월별로 모아놓은 페이지를 Archive라고 부르기도 한다. "Archive Page" - 과거에는 아카이브 파일이나 압축파일에서 파일 추출하고 컴파일하여 별도로 설치해야 했다. - 그 이후 RPM(Redhat Package Manage.. 2020. 5. 21.
Linux2_SSH + scp, sftp : Secure Shell - Telnet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원격접속 서비스 - 평문형태의 전송 방식인 Telnet과 달리 암호키를 이용한 전송방식 사용 - 패킷 전송을 도청해 볼수있는 Wireshark를 사용하면 확인 가능 환경설정을 이용하는 방법 /etc/ssh/sshd_config *telnet의 경우엔 /etc/firewalld/zones/public.xml을 사용했다. 명령어를 이용한 방법 패키지(openssh*) / 포트(22/tcp) / 서비스(ssh) / 데몬(sshd.service) * .service는 기본적으로 있는것이기 때문에 생략 가능 0) 기본 설정 (마운트, 패키지 설치, 포트, 서비스, 데몬 + 설정(sshd.config)의백업) 1) 포트 변경 *설정의 백업파일이.. 2020. 5. 20.
Linux1_압축(수정중) 압축기능 - 대용량 파일의 크기를 줄여서 보관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식 - 압축을 하면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용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데 굉장히 좋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1. gzip - 다중압축 지원 x - 압축방법 : gzip [파일명] ex)gzip grub.cfg - 압축풀기 : gunzip [파일명] ex) gunzip grub.cfg.gz 2. Bzip2 - 다중압축 지원 X - 압축방법 : bzip2 [파일명] ex) bzip2 grub.cfg - 압축풀기 : bunzip2 [파일명] ex) bunzip2 grub.cfg 3. tar - tar는 용량을 줄이는 용도가 아닌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아카이브파일(저장소) 이라고 합니다 - tar로 묶으면.. 2020. 5. 20.